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3; 73: 311-31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3938/NPSM.73.311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Hwanchul Jung1*, Seokyeong Lee2
1Department of Phys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2Department of Physic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ajeon 34141,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hcjung@pusa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igenenergy and wave function structures of a mesoscopic rectangular quantum dot on a two-dimensional electron gas using the quantum transport simulation tool KWANT. From adjusting the ratio betwee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quantum dot, we found that the eigenenergy was sensitively influenced by the ratio change and rearranged through the crossing. However, for certain energy states, the crossing was avoided, and anticrossing occurred instead.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wave function became a rotating mode near the anticrossing point but could not evolve continuously through the rotating mode, leading to anticrossing. Our calculation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rearranging the eigenenergy and wavefunctions and forming a rotating mode inside a quantum dot via deformation using nanodevices.
Keywords: Nanoscience and Technology
본 논문에서는 양자수송 시뮬레이션 도구 KWANT를 활용하여 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양자점이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상태와, 파동함수의 형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양자점의 너비와 폭의 비율을 달리하여 변형시켰으며, 고유 에너지들은 비율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며, 교차를 통해 에너지 상태의 순서가 재정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의 경우 교차를 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분석을 통해 교차에 가까워진 고유 상태의 파동함수가 원형의 모습을 가지며, 고유 상태의 파동함수가 비연속적으로 변화하여 고유에너지들이 교차를 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계산 결과를 통해 나노 소자를 활용하여 양자점을 변형시켜 에너지 상태와 파동함수를 재정렬 시킬 수 있으며, 원형 파동함수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나노과학과 기술
2차원 전자계 기반의 양자점 은 1991년도에 Meirav
본 연구에서는 에서는 양자수송현상 시뮬레이션 도구 KWANT[7]를 활용하여, 사각형 형태의 양자점 내의 에너지 분포가 너비와 높이의 비율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에너지 상태와 그 파동함수의 모습변화를 확인하였다. 재정렬시 대부분의 고유에너지들이 교차하였지만, 교차를 피하는 경우를 발견하였으며, 이때 에너지 상태의 파동함수가 원형의 파동함수를 걸쳐서 비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산결과를 통해 반도체 기반의 양자점 소자를 제어하여, 양자점의 변형을 시킬 수 있으며, 원형 파동함수에 대한 연구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양자점 형태의 변형에 따른 에너지 분포 변화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2차원에서의 입자의 운동을 설명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사각형 양자점의 파동함수와 에너지 분포는 2차원 infinite square well model로 설명할 수 있다. 면의 길이
양자점 내에 형성되는 파동함수와 고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계산은 시뮬레이션 도구 KWANT 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반도체 기반의 양자점 소자의 경우 기판 표면에 나노 공정으로 제작한 금속 전극에 전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공핍 영역을 유도하여, 양자점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pinned-potential boundary condition을 활용하였다[8]. 사각형 형태의 양자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가지 전극 형태를 계산에 활용하였다. 첫번째 모델은 Fig. 2(a)와 같이 박스모양을 가지며,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뒤, 전극 모델의 너비와 폭의 비율
두번째 모델은 전극의 형태를 유지하며, 가해지는 전압을 개별 적으로 제어하여 양자점의 변형 변수
Figure 3(a)는 Eq. (5)을 변형변수
Figure 3(b)는 박스 모양의 전극 (Fig. 2 (a))에 의해 유도된 양자점의 고유치를 시뮬레이션 도구 KWANT를 활용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Figure 3(a)와 달리 같은 색상으로 표시된 고유치는 서로 다른
Figure 4는 박스 모양의 전극 (Fig. 2(a))에 의해 형성된 양자점이 가지는 고유치의 파동함수를 가장 낮은 고유값부터 6개 (
대칭적인 모양(
Figure 5는 삼지창 형태의 전극(Fig. 2(b))이 형성시킨 양자점의 고유 에너지들(
반면에, A 영역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공정가능한 나노 소자를 활용하여, 사각형 구조의 양자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양자점 형태의 변형을 일으켜 내부 고유 에너지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ig. 5(a)에서,
양자수송 시뮬레이션 도구 KWANT를 활용하여 양자점 형태에 변형을 가할 경우, 양자점 내부에 형성된 에너지 상태들이 재정렬되는 것과 함께 파동함수도 함께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정렬시 대부분의 고유에너지들이 교차하였지만, 교차를 피하는 경우를 발견하였다. 양자점의 변형 시 교차를 피하는 고유 에너지들의 파동함수를 확인한 결과, 교차에 가까워지는 순간 원형의 파동함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차를 피하는 것은 이런 비연속적인 파동함수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원형의 파동함수의 형성은 반도체 기반의 양자점이 날카로운 면을 가지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추정한다. 계산결과를 통해 반도체 기반의 양자점 소자를 제어하여, 양자점의 변형을 시킬 수 있으며, 원형 파동함수에 대한 연구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21학년도 부산대학교 BK21 FOUR 대학원혁신지원사업에 의한 연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