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4; 74: 1231-123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3938/NPSM.74.1231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Kyoeun Kim, Dalhyun Do*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42601, Korea
Correspondence to:*ddo@km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effects of sintering conditions, such as sintering temperature and cooling rate, on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BiFeO3 (BFO) ceramics were investigated when preparing BFO piezoelectric ceramics using the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BFO ceramics were sintered at 810 °C, 830 °C, and 850 °C, with cooling rates controlled by furnace cooling and air cooling at each temperature. BFO ceramics sintered at temperatures above 830 °C exhibited higher direct piezoelectric coefficients (d33) than those sintered at 810 °C, suggesting that piezoelectric properties are related to grain size. For BFO ceramics sintered above 830 °C, a faster cooling rate resulted in a higher d33 value. In contrast, for BFO ceramics sintered at 810 °C, a slower cooling rate produced a higher d33 value, due to difficulties in achieving polarization alignment during poling caused by the suppression of domain wall movement by charged defects.
Keywords: BiFeO3, Sintering temperature, Cooling rate, Piezoelectric property, Ferroelectric property
고상 반응법을 통해 BiFeO3 (BFO) 압전 세라믹을 제조할 때, 소결 온도 및 냉각 속도와 같은 소결 조건이 BFO 세라믹의 압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FO 세라믹은 810 °C, 830 °C, 850 °C 에서 소결되었으며, 각 온도에서 냉각 속도는 로냉 (furnace cooling) 및 공냉 (air cool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830 °C 이상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81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보다 큰 정압전 계수 (d33) 값을 나타냈다. 이는 압전성이 결정립 크기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830 °C 이상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더 큰 d33 값을 보였다. 반면 81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냉각 속도가 느릴수록 더 큰 d33 값을 보였는데, 이는 전하 결함에 의해 도메인 벽 이동 억제로 인해 폴링 시 분극 정렬이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BiFeO3, 소결 온도, 냉각 속도, 압전성, 강유전성
압전체는 기계적인 에너지와 전기적인 에너지의 상호변환이 가능한 물질로, 센서 및 액추에이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압전 세라믹은 Pb(Zr,Ti)O3 (PZT)로, 압전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60% 이상 포함된 납 (Pb)으로 인해 인체에 해롭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1]. 이에 따라 PZT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비납계 압전 세라믹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비납계 압전 세라믹은 BaTiO3 (BT) 계열, (Bi,Na)TiO3 (BNT) 계열, (Bi,K)TiO3 (BKT) 계열, (K,Na)NbO3 (KNN) 계열, BiFeO3 (BFO) 계열 등이 있다. BT의 정압전 계수 (d33) 값은 191 pC/N으로 비교적 큰 값을 가지지만[2], 강유전 상전이 온도 (
1950년대 후반에 발견된 단일상 BFO는 상온에서 강유전성, 압전성, 자성 사이의 두가지 성질 이상의 결합 효과 (coupling effect)를 이용하여 새로운 메모리 소자 및 MEMS 등에 응용이 가능한 다강체 (multiferroics)이다[12, 13]. BFO는 830 °C의 높은
본 연구에서는 고상 반응법을 통해 BFO 압전 세라믹을 제조할 때, 소결 온도 및 냉각 속도와 같은 소결 조건이 BFO 세라믹의 압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BFO 세라믹의 결정구조, 미세조직 및 강유전 이력 곡선 분석을 통해 소결 조건에 따른 압전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고상 반응법을 이용하여 BFO 세라믹 제조를 위해, 출발 물질로 Bismuth(III) oxide (Bi2O3, Sigma Aldrich, 99.9%), Iron(III) oxide (Fe2O3, Sigma Aldrich, 99%) 분말을 사용하였다. 소결 과정 중 Bi의 휘발을 고려하여 5 mol% Bi를 추가하였다. Bi1.05FeO3의 조성으로 칭량된 분말은 에탄올에서 지르코니아 볼과 함께 15시간 동안 볼밀 과정을 거친 후, 125 °C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후, BFO 단일상 형성을 위해 700 °C에서 2시간 동안 하소 (calcination)하였다. 하소된 분말에 5 wt% PVA (polyvinyl alcohol)을 첨가한 후, 100 mesh 체로 체가름 하였다. 성형체는 2 ton의 압력으로 일축 가압 성형하여 지름 10 mm, 두께 1 mm로 제조한 후, 각각 810 °C, 830 °C, 850 °C에서 소결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냉각 속도는 로냉 (furnace cooling)과 공냉 (air cooling)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소결을 위해 각각의 소결 온도까지 3.5 °C/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최종적으로, 소결 온도 및 냉각 속도의 소결 조건에 따른 6가지 종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X-선 회절 분석기 (MiniFlex600, Rigaku)를 사용하여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Figure 1은 각각의 소결 조건으로 제조된 시편의 X-선 회절 패턴을 보여준다. 모든 세라믹에서 변형된 perovskite 결정구조를 가지는 BFO 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절 피크에 밀러지수를 표시하였다. BFO 상 이외에 이차상도 생성되었으며, 이는 “
Figure 2는 각각의 소결 조건으로 제조된 BFO 압전 세라믹의 SEM 이미지이다. 830 °C 이상의 온도에서 소결된 세라믹은 810 °C에서 제조된 세라믹보다 상대적으로 큰 결정립을 보였다. 세라믹 소결의 구동력은 표면 에너지 감소로, 소결 초기에 생성된 작은 결정립들은 소결이 진행되는 동안 인접한 결정립들과 합쳐져 최종적으로 큰 결정립을 형성하여 전체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BFO 제조에서 810 °C의 소결 온도는 초기 결정립 성장 온도로 작용하며, 830 °C 이상의 온도는 결정립 성장이 주된 기구로 작용하는 온도로 판단된다.
Figure 3에 SEM 이미지로부터 얻은 결정립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정립 크기는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냉각 속도와 관계없이 유사한 결정립 크기를 보였다. 810 °C, 830 °C, 85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로냉 시 각각 7.1 μm, 62.1 μm, 63.7 μm이었고, 공냉 시 각각 6.7 μm, 66.8 μm, 58.9 μm이었다. 81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과 비교할 때, 830 °C와 85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약 9배 더 큰 평균 결정립 크기를 나타냈다.
BFO 세라믹의 압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d33을 측정한 결과는 Fig. 4에 나타내었다. 810 °C, 830 °C, 85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의 평균 정압전 계수 (
830 °C와 850 °C에서 소결된 BFO에서 공냉의 경우 로냉보다 큰
고상 반응법을 이용하여 BiFeO3 압전 세라믹을 소결 온도 및 냉각 속도를 제어하며 제조하였다. 81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에서는 Bi25FeO39 이차상이 형성되었고, 830 °C 이상의 온도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강도가 낮은 피크가 나타났다. 표면 미세조직과 결정립 크기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온도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냉각 속도와 관계없이 유사한 결정립 크기를 보였다. 반면, 소결 온도에 따른 결정립 크기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810 °C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과 비교할 때, 830 °C 이상의 온도에서 소결된 BFO 세라믹은 약 9배 더 큰 평균 결정립 크기를 나타냈다. BFO 세라믹의 압전성을 측정한 결과, 830 °C와 850 °C에서 소결된 BFO에서 공냉 시 로냉보다 큰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5R1D1A1A01059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