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sm 새물리 New Physics : Sae Mulli

pISSN 0374-4914 eISSN 2289-0041
Qrcode

Article

Research Paper

New Physics: Sae Mulli 2009; 58: 353-361

Published online March 31, 2009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Teachers in Online Forums for the Community of Science Teachers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에서 과학 교사들의 상호 작용 분석

Bongwoo LEE1*, Hwayoung JEON2, Jeongwoo SON3

1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448-701
2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3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mam 660-701

Correspondence to:peak@dankook.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teachers in online forums for the community of science teachers. To ful?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885 main postings and 5,662 reply postings that 90 science teachers had made during 6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60 percentages of main postings were related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especially, teaching strategy). Second, the correlation coe?cient between the o?ine participation index and the online participation index was 0.562. Third, we found the ‘Interaction Core’ in the online community of science teachers by using an interaction map that we had developed.

Keywords:  ,Online interaction, Online interaction map, Contents analysis, Community of science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과학 교사 커뮤니티에 참여한 과학교사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90명의 과학교사가 6개월 동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작성한 주제글 885개와 답글 5,662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글의 약 60 %는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글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다. 둘째, 오프라인 참여도와 온라인 참여도 사이의 상관지수는 0.562였다. 셋째, 온라인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상호작용 지도를 개발하여 살펴보았을 때, 과학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핵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별 상호작용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덧붙여 온라인 과학 커뮤니티에서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방안과 특히 초임 교사들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Keywords: 온라인 상호작용, 온라인 상호작용 지도, 내용 분석, 과학교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