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sm 새물리 New Physics : Sae Mulli

pISSN 0374-4914 eISSN 2289-0041
Qrcode

Article

Research Paper

New Physics: Sae Mulli 2010; 60: 488-496

Published online May 31, 2010 https://doi.org/10.3938/NPSM.60.488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Analysis of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in Korea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Bong Woo LEE1*, Dong Hee SHIN2

1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Gyeonggi 448-701
2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0-750

Correspondence to:peak@dankook.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tent of Korean science textbooks. For this, we analyzed the type and the organiz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the content of the history of science, the method used to present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source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20 science textbooks (from 3rd grade to 10th grade)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cience textbooks presented the information on scientists as biographic data for the individual scientist, the importance of the scientific community was rarely stressed. Second, scientific content was mainly presented in the cognitive domain. More science content related to the inquiry and the affective domains is needed. Third, science textbooks should have more visual materials on historical machines, laboratory equipment, original documents/ texts, and historical experiments. Fourth, the content of historical science mainly consisted of accident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se we conclude that findings of the historical content of Korean science, as well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Keywords: History of science, Science textbook, Content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3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교과서 총 20권에서 과학사 내용을 추출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의 형태와 조직, 과학사의 내용 요소, 과학사를 도입하는 방법, 과학사를 도입하는데 사용된 자료 등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는 주로 한 명의 과학자의 개별적인 전기와 업적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과학자 집단의 연계적인 업적에 대한 진술은 부족하다. 둘째, 과학사 내용은 과학의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탐구적 요소나 정의적 요소는 부족하다. 셋째, 과학자 사진, 과학적 업적과 관련된 장치나 실험장비 등과 같은 시각적 자료가 과학교과서에 많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넷째,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은 주로 서양과학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국과학사 내용을 포함하기 위해서 다양한 한국과학사 내용의 발굴 및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과학사, 과학교과서, 내용분석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Related articles in NP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