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1; 71: 814-818
Published online October 29, 2021 https://doi.org/10.3938/NPSM.71.814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Ilkyoung JEONG*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 Research Center for Dielectrics and Advanced Matter Phys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ence to:jeong@pusan.ac.kr
Local structures of Bi4-xLaxTi3O12 (x=0, 0.75, 1.5) have been studied using neutron atomic pair distribution function analysis and reverse Monte Carlo (RMC) modeling. For x=0, the Ti-O bond-length distribution has an asymmetric shape, indicating an off-centering of the Ti ion inside the oxygen octahedron. As the La composition x increases, the Ti-O bond-length distribution becomes more symmetric and narrower, implying that the off-centering of the Ti ion is suppressed by La substitution. By using RMC modeling for the neutron-pair distribution function and the total scattering of Bi4-xLaxTi3O12 we show that the substitution of the La ion strongly affects the local environment of a Bi ion at the perovskite A-site. In contrast, the local structure of the Bi ion at the Bi2O2 layer remains relatively undisturbed. Between x=0.75 and 1.5, we find that an increased La content has no further noticeable effects on the local structures, which indicates an enhanced structural stability due to a La substitution of x=0.75.
Keywords: Local structure, Ferroelectrics, Neutron diffraction, Atomic pair distribution function
중성자 짝분포함수 분석과 reverse Monte Carlo (RMC) 모델링을 이용하여 Bi$_{4-x}$La$_x$Ti$_3$O$_{12}$ ($x$=0, 0.75, 1.5)의 국소구조를 연구하였다. $x$=0인 경우, Ti-O 원자쌍의 거리분포를 나타내는 짝분포함수는 산소팔면체 중심에서 Ti 이온의 변위로 인해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인다. La 이온이 치환됨에 따라 Ti-O 짝분포함수 피크는 점점 대칭적이 되어가고 반치폭도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La 이온의 치환으로 인해 Ti 이온의 변위가 억제됨을 의미한다. Bi$_{4-x}$La$_x$Ti$_3$O$_{12}$의 중성자 짝분포함수와 총산란에 대한 RMC 모델링을 통해 La 이온의 치환이 페로브스카이트 $A$-위치에 있는 Bi 이온의 국소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Bi$_2$O$_2$ 층에 있는 Bi 이온의 국소구조는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았다. La 이온의 조성이 $x$=0.75와 1.5인 두 경우를 비교한 결과 추가적인 La 이온의 치환이 국소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고 이로부터 $x$=0.75에서 La 이온의 치환이 결정구조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국소구조, 강유전체, 중성자 회절, 원자짝분포함수
강유전체의 주요 특성인 잔류분극, Curie 온도, 그리고 피로도 등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특정 이온을 치환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PbTiO3 에서 일정량의 Ti 이온을 Zr 이온으로 치환하여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1,2]. 또한, Bi4Ti3O12 (BiT) 박막에서 Bi 이온을 La 이온으로 치환한 Bi3.25La0.75Ti3O12 에서 극성 스위칭에 의해 분극이 감소하는 피로현상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이와같은 이온 치환이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치환에 의한 결정구조의 변화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Bi4
BiLT와 같은 혼합물의 미시적 결정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La 이온이 무작위로 페로브스카이트
본 논문에서는 La 이온의 치환이 Bi4
Bi4
Bi4
퍼짐 산란은 [10] 결정의 3차원 주기성이 깨어질 때 발생한다. 따라서 브래그 산란과 퍼짐 산란 모두를 사용하는 짝분포함수 분석은 결정 구조의 장거리 질서 및 단거리 질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6].
분말 회절 패턴으로부터 짝분포함수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샘플 캔에 의한 산란과 샘플에 의한 흡수 등을 보정한 후 입사하는 중성자 빔의 세기로 규격화를 하여 구조함수 (structure function),
여기서,
Figure 1(a)는 상온에서 Bi4Ti3O12 의 중성자 구조함수를 변형된 형태 [S(Q)-1]·Q로 나타낸 것이다. 산란벡터의 최대 크기
구조함수와 짝분포함수는 퓨리에 변환관계에 있으므로 이 두 함수는 서로 같은 결정구조 정보를 가지고 있다. 다만, 짝분포함수는 실공간에서 원자간의 거리의 함수로 표현되어 있어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있어 좀더 직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1(b)에는 La 이온의 조성에 따른 BiLT의 국소구조(
Figure 1(c)는 BiT의 단사정계
먼저, 짝분포함수의 첫 번째 피크는 Ti-O 원자쌍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Ti-O 피크가 음의 피크로 나타나는 이유는 Ti 이온이 음의 중성자 산란길이를 갖기 때문이다 [10]. Ti-O 피크 다음으로는 Bi-O와 O-O 원자쌍의 거리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난다. 짝분포함수에서 피크는 하나의 원자 쌍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원자 쌍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Figure 1(b)에서는 피크 세기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자 쌍을 표현하였다.
Ti-O 짝분포함수는 산소팔면체내에서 Ti 이온의 위치에 따라 피크의 모양이 달라진다. Ti 이온이 정팔면체의 중심에 위치하면 주위의 산소와 모두 같은 Ti-O 본드길이를 갖게 될 것이고, Ti 이온이 산소팔면체의 꼭지점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Ti 이온은 주위의 산소와 서로 다른 세 개의 Ti-O 본드길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산소팔면체 내부의 Ti 이온의 변위에 따라 짝분포함수의 Ti-O 피크의 모양은 달라지게 된다 [18].
BiT의 경우 Fig.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소팔면체가
Figure 1(b)에서 La 이온의 치환에 의해 Bi-O 원자쌍에 대응하는 짝분포함수의 세기가 상당히 영향을 받는 것을 관측할 수 있다. La 이온과 Bi 이온의 중성자 산란길이는 각각 bLa=8.27 fm와 bBi=8.53 fm [19]으로 차이가 많이 나지 않으므로
Bi4
Figure 2는 BiT에 대해 21888개의 원자를 (12×12×2 단위낱칸) 이용하여 구조함수와 짝분포함수에 대해 수행한 RMC 피팅이다.
RMC 모델링을 위해 RMCProfile [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결정구조 모델의 크기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구조함수는 모델의 크기로 콘볼루션 (convolution)하였고 S(Q)
Figure 3(a, b)는 Bi4
Bi-O 원자쌍의 경우 La 이온의 치환에 의해
Figure 3(c,d)는 Fig. 3(b)의 Bi-O 짝분포함수에서 Bi
La 이온의 조성이
Bi4
RMC 모델링을 바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본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