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1; 71: 218-224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1 https://doi.org/10.3938/NPSM.71.218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Dameul JEONG, Seungwoo YOO, Junyeop JEON, Seung jun LEE, Young-Kyun KWON*
Department of physics, Kyung Hee University, Seoul 02447, Korea
Correspondence to:ykkwon@khu.ac.kr
We studied the electronic structure of Si$_2$Bi$_2$ through a first-principles calculation based on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Si$_2$Bi$_2$, a van der Waals layered structure, which possesses an in-plane $C_3$ rotational and time-reversal symmetries as well as inversion, exhibits metallic characteristics in equilibrium. Intriguingly, its electronic band structure reveals Dirac cones existing near the Fermi level.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Si$_2$Bi$_2$ could undergo a phase transition from metallic to topological insulating phases due to in-plane compressive strains, either uniaxial or biaxial. In particular, its band structure evolution under the uniaxial compressive strain along the zigzag direction revealed that a band inversion had occurred. Our hybrid Wannier charge center calculation confirmed that this material, indeed, becomes a topological insulator. Finally, we constructed its topological phase diagram in the parameter space of the in-plane strain fields, which revealed how to control the in-plane strain to realize the topologically different phases of Si$_2$Bi$_2$.
Keywords: Layered materials, Density functional theory, Electronic structures, Topological phase transition, In-plane strain
밀도 범함수 이론을 토대로 한 제일 원리 계산을 통해, Si$_2$Bi$_2$의 전자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쌓아 만든 층상구조인 Si$_2$Bi$_2$는 수직 방향으로 $C_3$ 회전 대칭을 가지고 있으며, 반전 대칭과 시간 역전 대칭도 가지고 있어 변형이 가해지지 않은 안정적인 구조에서 금속의 성질을 띈다. 흥미롭게도 Si$_2$Bi$_2$의 밴드 구조를 보면, 디락 콘이 페르미 레벨 인근에 존재하는 것과, 수평 쌍축 및 단축 압축 변형을 통해 이 물질은 금속에서 위상 절연체로의 상변이가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지그재그 방향으로 단축 압축 변형을 시켰을 경우 전자구조에서 밴드 역전 현상을 관찰하였다. 하이브리드 와니어 차지센터 계산를 통하여 이 물질이 위상 절연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평면 변형을 표현된 공간에서 Si$_2$Bi$_2$ 물질이 가질 수 있는 위상학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상공간을 얻었고, 이를 통하여 수평 방향 변형을 조절함으로서 Si$_2$Bi$_2$의 위상학적 상태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Keywords: 층상물질, 밀도 범함수 이론, 전자 구조, 위상 상변이, 평면 변형
주기적인 격자를 가지고 있는 고체 물질에서, 주어진 밴드(Band)에서의 에너지-운동량 분산 관계식은
시스템이 시간 역전 대칭, 반전 대칭과 더불어 회전 대칭(
이러한 흥미로운 위상학적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찾아보기 위해, 우리는 삼차원 층상 구조인 Si2Bi2 의 전자구조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장의 얇은 2차원 Si2Bi2 대칭성에 따라 𝓜-Si2Bi2 그리고 𝓘-Si2Bi2 두가지 구조를 가지며, 두 구조 모두 안정적이며 반도체 라는것이 앞선 연구 결과들을 통해 알려져 있다 [5,6]. 이 물질을 쌓아 올려 삼차원 층상 구조를 만들게 되면, 반전 대칭, 회전 대칭, 그리고 시간 역전 대칭을 모두 가지는 물질을 만들 수 있고, Bi는 강한 스핀 궤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원소 이기 때문에 위상학적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Si2Bi2 구조에서 나타나는 위상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제일 원리 밀도 범함수 이론을 바탕으로 𝓘-Si2Bi2 구조를 AA 방식으로 쌓으며 삼차원 층상구조를 만들어 전자구조를 계산하였다. 한장의 𝓘-Si2Bi2 구조와 달리, 이 구조는 금속이며, 흥미롭게도
Si2Bi2 의 변형에 따른 위상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밀도 범함수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제일 원리 계산 (First principle study)을 하였다 [7,8]. 유사 퍼텐셜 방법(Pseudopotential method)과 평면파 기저(Plane wave basis)를 기반으로 하는 VASP 코드를 [9,10] 사용하였다. 평면파의 차단 에너지(Cutoff energy)는 520 eV을 사용하였다. 교환-상관 퍼텐셜(exchange-correlation potential)은 전자 기체의 공간적인 변화율을 고려한 근사인 GGA(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를 사용하였다. 유사 퍼텐셜은 PAW(projector augmented wave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11,12], 층상 구조에서 나타나는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을 고려하기위해, DFT-d3 방법을 사용하였다 [13]. 안정된 구조를 찾는 과정에서는 8×8×2
Fig 1 (a) 와 (b) 는 3D Si2Bi2 의 안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 구조는 반전 대칭성과 원자층에 수직한 방향으로 C3 회전 대칭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 서 Fig. 1(a)에서 화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과 (b)에서
Figure 2 (a) 와 (b) 는 Si2Bi2 의 밴드 구조와 Si2Bi2 단위 셀의 브릴루앙 영역(Brillouin zone)을 보여준다. 한장의 𝓘-Si2Bi2 구조와 달리 Si2Bi2 는 금속이며 다수의 전자/홀 포켓이 페르미 레벨 근처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층상 구조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으로, 원자 층간의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에 의해 밴드 갭이 작아져서 금속으로 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Si2Bi2 의 전자 구조에 4개의 전자가 축퇴되어 있는 디락 콘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2 (c) 는 페르미 레벨 조금 아래 영역의 A-Γ 방향의 밴드 구조를 보여주는데, 교차하는 두개의 밴드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교차하면서 디락 콘이 존재함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Figure 2 (b) 에서 보여주듯이 A-Γ 방향은 층상 구조의 수직방향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이 디락 콘은 앞서 언급한 C3 회전 대칭성에 의해 보호받는 위상학적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디락콘의 흥미로운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디락콘을 페르미 레벨에 위치시켜야 하고, 또한 다른 전자/홀 포켓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형을 만들어 내기 위해 우리는 Si2Bi2 에 기계적 변형을 가해 전자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쌍축 압축 변형 (Bi-axial tensile strain) 이 전자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변형 정도에 따른 밴드 갭의 변화를 계산하여 Fig. 4 (a)에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 1.497%보다 더 강한 압축 변형이 가해지면 Si2Bi2 의 밴드 갭이 열리고, 그 후 압축 변형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밴드 갭이 정확히 0이 되는 지점에서 디락 콘이 페르미 레벨에 위치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이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 1.497%에서 A-Γ-A 방향으로 밴드 구조를 계산하여 Fig. 4 (b)에 나타내었다. 우리의 예상과 마찬가지로 두 밴드가 정확히 Γ점에서 만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때 다른 전자/홀 포켓이 없기 때문에 Si2Bi2 는 디락 준금속 (Dirac semimetal)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디락 준금속 상태는 다른 전자/홀 포켓이 페르미 레벨이 존재하게 되면 일반적인 금속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락 준금속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디락 콘과 페르미 레벨의 위치의 차이를 변형 정도에 따라 Fig. 4 (c) 에 나타내었다. 디락 준금속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디락 콘은 정확히 페르미 레벨에 위치하기 때문에 0을 나타나게 되고, 변형이 – 1.296%보다 약해지게 되면 디락 콘의 위치가 페르미 레벨보다 낮아지며 다른 전자 포켓이 생겨 Si2Bi2 가 일반적인 금속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4 (d)는 – 1.296%에서의 A-Γ-A 방향 밴드 구조를 나타내는데, 감마 점에 위치했던 디락 콘이 A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지만, 여전히 페르미 레벨이 정확히 디락 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쌍축 압축 변형하에서 Si2Bi2 는 금속-디락 준금속-반도체 순으로 상전이 함을 알 수 있고, 변형 정도가 -1.497% – 1.296% 사이에서 안정된 디락 준금속 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쌍축 변형이 아닌 단축 변형을 가하게 되면, 이 물질의 회전대칭성이 깨지기 때문에 다른 위상학적 효과가 나타남을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해 보기 위해 우리는 단축 변형의 효과 또한 계산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지그재그 방향의 단축 변형과 그에 수직한 암체어 방향의 단축 변형을
– 2.63% ~ – 2.75%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자 구조가 정말 위상 절연체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복합 와니어 함수를 활용하여 WCC를 계산하였다 [14,15]. 복합 와니어 함수는 블로흐 함수를 한 축 방향으로만 와니어화(Wannierization) 하고, 나머지 두 축을 그대로 블로흐 함수로 정의한다 [17]. 3D에서 최대 국소화 와니어 함수를 한 방향으로 선택하면 나머지 방향으로는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복합 와니어 함수의 고유값은 WCC로 주어지고 WCC는 표면 밴드 구조와 대칭성을 공유한다. [18,19] 따라서 위상 절연체를 판단하기 위한 물리량으로 사용된다. Figure 6는
수평 방향 쌍축 압축 변형과 단축 압축 변형을 통해, 금속의 성질을 띄었던 Si2Bi2 는 디락 준금속과 위상 절연체로 상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단축 혹은 쌍축 변형 뿐 아니라 임의의 변형 아래에도 동일한 물리적 기작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변형에 따른 Si2Bi2 의 위상학적 상태를 위상 변화를 다이어그램을 통해 Fig. 7에 나타내었다. 변형에 있어서 앞선 과정과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방향을
밀도 범함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제일원리 계산을 통해, 우리는 Si2Bi2 의 전자 구조 및 변형에 따른 위상학적 상태를 연구하였다. 변형이 없을 때 Si2Bi2 는 금속이며, 시간 역전 대칭, 반전 대칭 및
이 논문은 2020년도 경희대학교 “[2020 대학혁신] 학부생 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또한 이 논문은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입니다(No.2019R1A2C1005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