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1; 71: 225-229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1 https://doi.org/10.3938/NPSM.71.225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Yeongrok JIN, Jaekwang LEE*
Department of Phys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ence to:jaekwangl@pusan.ac.kr
Using the cluster expansion methods and first-principles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we studied the mixing energy of 1H MoS$_{2-2x}$Te$_{2x}$ and 1T$^{\prime}$ MoS$_{2-2x}$Te$_{2x}$ binary alloys composed of the two-dimensional transition-metal chalcogenides MoS$_{2}$ and MoTe$_{2}$. For 1H MoS$_{2-2x}$Te$_{2x}$, a phase separation is expected due to the positive mixing energies regardless of the relative S and Te content. However, both MoS$_2$ and MoTe$_2$ can form solid solutions at temperatures above the room temperature because the mixing energy is less than 10 meV. In contrast, the mixing energies of 1T$^{\prime}$ MoS$_{2-2x}$Te$_{2x}$, alloys are always negativ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solid solution. We expect our theoretical studies to be utilized to guide the design of two-dimensional transition-metal chalcogenide alloys-based novel devices.
Keywords: Alloy, Mixing energy, Solid solution, Phase separation, Density functional theory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MoS$_{2}$와 MoTe$_{2}$로 이루어진, 1H MoS$_{2-2x}$Te$_{2x}$ 와 1T$^{\prime}$ MoS$_{2-2x}$Te$_{2x}$ 이종 합금 (Binary Alloy)의 섞임 에너지 (Mixing Energy)를 클러스터 전개법 (CE, Cluster Expansion)과 제일원리 밀도 범함수 이론 (Density Functional Theory)계산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H MoS$_{2-2x}$Te$_{2x}$의 경우 S와 Te의 상대적인 함량에 상관없이 항상 양의 섞임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상분리 (Phase Separation)가 예측되었다. 하지만10 meV 보다 작아 대략 상온이상에서는 고용체 (Solid Solution) 합금으로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에 비해1T$^{\prime}$ MoS$_{2-2x}$Te$_{2x}$의 경우 음의 섞임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모든 온도에서 고용체 합금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합금을 이용한 소자 디자인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합금, 섞임 에너지, 고용체, 상분리, 밀도범함수이론
최근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발현하는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서로 다른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들의 상호 조합을 통해 새로운 물성을 가지는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합금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1–8]. 예를 들어 띠틈 (Bandgap)이 큰 1H WS2 이차원 물질과 띠틈 상대적으로 작은 1HMoTe2 이차원 물질로 이루어진 1H Mo1−
최근에는 전이금속 원소들의 양을 달리한 기존 이차원 합금 연구와 달리 칼코겐 원소들의 양을 조절한 MoS2−2
이에 ATAT (Alloy Theoretic Automated Toolkit)에 구축 되어있는 클러스터 전개법 [13–15]을 이용하여 1H MoTe2와 1H MoTe2 로 이루어진 1H MoS2−2
먼저1H MoS2−2
Figure 1은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의 1H와 1T′ 원자구조에 대한 평면도(Top View)와 측면도(Side View)를 나타낸다. 1H와 1T′ 구조를 보다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기본 낱칸 (Primitive Cell) 이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표시하였다. 1H 구조의 경우 측면도에서 보면 보라색 Mo를 중심으로 위 아래의 칼코겐 원소들이 대칭되어 위치 되어 있고 Mo 원자들간 거리가 동일하다. 이에 비해 1T′ 구조의 경우 Mo를 중심으로 위 아래의 칼코겐 원소들이 비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고 Mo 원자들간 거리도 한쪽은 가깝고 한쪽은 먼 형태로 재구성(Reconstruction)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T′ 구조는 1H 구조의 2*1 재구성 구조라 할 수 있다. 1H MoTe2 의 경우 빨간 점선으로 표시된 직사각형 구조에서 a 방향으로Mo와 Mo의 거리는 5.51 Å, b 방향으로 Mo와 Mo의 거리는 3.18 Å이다. 1H MoTe2 의 경우 a 방향으로Mo와 Mo의 거리는 6.15 Å, b 방향으로 Mo와 Mo의 거리는 3.55 Å이다. 이러한 격자 상수 차이는 Te 원자의 원자반경(135pm)이 S 원자의 원자반경(102pm)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1T′ MoTe2 의 경우 빨간 점선으로 표시된 직사각형 구조에서 a 방향으로Mo와 Mo의 거리는 5.72 Å, b 방향으로 Mo와 Mo의 거리는 3.17 Å이다. 1H MoTe2 와 비교해서 b 방향으로는 거의 유사하나 a 방향으로는 격자 찌그러짐 (Lattice Distortion)으로 인해 대략 4% 정도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1T′ MoTe2 의 경우 빨간 점선으로 표시된 직사각형 구조에서 a 방향으로Mo와 Mo의 거리는 6.37 Å, b 방향으로 Mo와 Mo의 거리는 3.45 Å이다.
Figure 2(a) 는 클러스터 전개법을 통해 예측된 975개의 1H MoS2−2
이를 통해1H MoS2−2
Figure 3은 Te (올리브색) 원소의 함량이 0.25, 0.5 0.75인 1H MoS2−2
Figure 4는 Te 원소의 함량이 0.25, 0.5 0.75 인 1T′MoS2−2
1H MoS2−2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 (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