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1; 71: 645-65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1 https://doi.org/10.3938/NPSM.71.645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Ara GO*
Department of Phys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Correspondence to:arago@jnu.ac.kr
The effective angular momentum $j_{eff}$ efficiently describes the $t_{2g}^5$ orbitals in the presence of spin-orbit coupling. On the other hand, the $d$-orbital is spatially localized, and the local electrons have strong mutual two-body interaction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etal-insulator transitions in transition-metal compounds. For a rotationally invariant $d$-orbital, the local interactions between electrons are expressed in terms of the local Coulomb interaction $U$ and Hund's coupling $J_H$. The Coulomb interaction prevents electrons from gathering at the same position, and Hund's coupling distributes the electron to maximize the spin and the orbital angular momenta. The Hund's coupling often competes against spin-orbit coupling. We explain both the competition between spin-orbit coupling and local interactions in the $t_{2g}^5$ orbital via an atomic limit description and the way in which the effects can be revealed in the electronic structure by dynamical mean-field calculation for a simplified lattice Hamiltonian.
Keywords: Metal-insulator transition, Spin-orbit coupling, Hund's coupling
$t_{2g}^5$ 궤도는 강한 스핀-궤도 결합 아래 유효 각운동량 $j_{eff}$으로 기술된다. 한편 $d$-궤도는 공간적으로 국소화되어 같은 위치의 전자들은 강한 이체 상호작용을 느끼며, 이 상호작용은 전이금속 화합물의 금속-절연체 상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전자궤도가 회전 대칭성을 가질 때, 전자 사이의 국소적 상호작용은 쿨롱 상호작용 $U$와 훈트 결합 $J_H$으로 표시할 수 있다. 쿨롱 상호작용은 여러 전자가 한 위치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며 훈트 결합은 스핀 각운동량과 각운동량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데, 이중 훈트 결합은 종종 스핀-궤도 결합과 경쟁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t_{2g}$ 궤도에 전자가 5개 차있는 $t_{2g}^5$ 상황에서 스핀-궤도 결합과 국소적 상호작용의 경쟁관계를 원자극한을 통해 설명하고 그러한 경쟁관계가 격자의 전자 들뜸 스펙트럼에 끼치는 영향을 단순화된 모형 해밀토니안에 대한 동적 평균장 이론(dynamical mean-field) 계산으로 살펴본다.
Keywords: 금속-절연체 상전이, 스핀-궤도 결합, 훈트 결합
전이금속 화합물에서는 공간적으로 국소화 되어있는
모트 금속-절연체 상전이는 단일입자 파동함수에 기대어 이해할 수 없는 대표적 강상관 현상으로, 이른 단계부터 흔히 허버드 모형을 [1] 이용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진 역사가 있다. 허버드 모형에서는 격자 위 전자의 거동을 크게 단순화하여 단지 두 종류의 항으로 해밀토니안을 구축하는데, 건너뜀 항 (hopping term)과 국소적 상호작용 항이 그것이다. 이 모형은 격자계에 전자가 단위격자당 홀수개 차있을 때, 밴드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절연체가 출현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허버드 모형이 극도로 단순화된 모형일지라도 전자간 다체 상호작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차원 모형의 일부 물리량을 [2] 제외하고는 그 정확한 해를 얻기 어렵다. 이체 상호작용이 해밀토니안을 주도할 때 양자 다체상태는 여러 슬레이터 행렬식의 중첩으로 나타나며, 구성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체상태 표현에 필요한 행렬식의 숫자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동적 평균장 이론은 지수함수적 계산량 증가에서 오는 어려움을 공간적 요동을 평균장 수준에서 근사하되 국소 상관관계는 정확히 기술하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3] 공간적으로 무한히 큰 상호작용하는 다체계는 동적 평균장 이론에서 유효 전자 저장소(effective electron bath)와 국소 불순물(local impurity)로 환원되어 양자 불순물 문제가 된다. 이때 국소 양자상태는 접근 가능한 모든 국소 슬레이터 행렬식의 중첩으로 나타나고, 이 중첩은 모트 절연체 등 단일 슬레이터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없는 대상을 성공적으로 기술한다.
최근 동적 평균장 이론은 전자밀도 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와 결합하여 강상관 물질의 전자구조 계산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4] 원래의 허버드 모형은 모트 절연상의 이해를 목적으로 단위격자당 전자궤도 하나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1] 그러나
전이금속
가령
전술한 논문은
이 논문은 나머지 부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II절에서는 이 논문에서 다루는 꽉묶은 모형과, 상호작용과 스핀-궤도 결합의 경쟁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한 계산 방법을 소개한다. III절은 원자극한에서
회전대칭성을 가질 때
이때
하나의 전자에 대한 스핀-궤도 결합은
로 나타나며, 다체상태에 대한 스핀-궤도 결합 기여는 해당 상태의 모든 전자에 대한 값을 모두 더한 것으로 쓰면 된다. 전체 국소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위의 두 해밀토니안 식 (1)과 식 (2)에 화학포텐셜
식 (1)을
와 같이 나타나고, 이 때
와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모든 항을 포함한 전체 꽉묶인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다.
위 해밀토니안에서 이체 상호작용이 없는 극한(noninteracting limit)은 모든 페르미온 연산자 항이 이중선형(bilinear)이 되므로, 단순한 단일 입자 해밀토니안 대각화 과정을 거쳐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다. 이 모형의 대각화 과정은 위치 공간에서 모멘텀 공간으로의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 된다. 이체 상호작용이 없는 극한의 들뜸 스펙트럼(signle-particle excitation spectrum) 및 투영상태 밀도(projected density of states)를 그리면 Fig. 1과 같다. 화학포텐셜을 조절하여 단위격자당 전자의 수가 5개가 되도록 하였으며, 스핀-궤도 결합이 전자구조에 주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한 격자 위치의 전자수가 정수일 때 쿨롱 상호작용이 충분히 크면 전자의 단일입자 들뜸 스펙트럼의 페르미 준위 주변에 모트 틈(Mott gap)이 열린다. 이러한 모트 절연체에서는 단일 입자 들뜸의 구조를 원자극한에 빗대어 이해할 수 있다. 원자극한이란 모든 건너뜀 상수
여러 에너지 눈금(scale)이 혼재되어 있는 복잡한 문제를 분석할 때, 다양한 극한을 살펴봄으로서 물리적 직관을 얻을 수 있다. 건너뜀 상수들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 국소 해밀토니안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원자극한에 대해 살펴보자. 원자극한의 경우 식 (1)을 각운동량 연산자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다시 쓰면 쉽게 풀 수 있다.
위 식에서
표 1은 식 (7)의 에너지 고유상태과 에너지 기댓값, 총유 효각운동량 등을
Table 1 List of energy eigenstates directly relavant to particle-hole excitation spectrum for the
Excitation | ||||||
---|---|---|---|---|---|---|
6 | 0 | 0 | 0 | 15 | 0 | 1/2 |
5 | 1/2 | 1 | 1/2 | 10 | -2 | |
1 | 3/2 | 1 | ||||
4 | 1 | 0 | 0 | 6 | -4 | 1/2 |
1 | 1 | -2 | 3/2 | |||
2 | 2 | 2 | 3/2 | |||
0 | 2 | 2 | 6 | 0 | 3/2 | |
0 | 0 | 0 | 6 | 0 | 1/2 |
표 1의 상태 가운데 어느 것이 바닥상태가 되는지는 화학 포텐셜
바닥상태에는 홀이
여기서
홀의 들뜸 밀도는 스핀-궤도 결합과 훈트 결합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Fig. 2(a) 는
Figure 2(b)에서는
해밀토니안 식 (6) 을 정확하게 푸는 것은 불가능하다. 격자 크기가 커짐에 따라 힐베르트 공간의 크기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다체 해밀토니안의 특성때문이다. 이 해밀토니안에서 이체 상호작용을 배제하거나(상호작용 없는 극한) 국소적이지 않은 항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원자극한) 힐베르트 공간의 크기를 제한하면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실제 물질 내에서는 임의로 특정 항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둘 중 어느 극한도 현실적인 근사는 아니다. 동적 평균장 이론은 공간 요동에 평균장 근사를 적용하는 대신 국소 다체 상태를 근사 없이 다루는데, 국소 이체 상호작용이 지배적인 계에서는 합리적인 근사가 된다. [4]
Figure 4는 동적 평균장 이론을 이용하여 단순입방격자 위의 꽉묶은 해밀토니안에 상호작용 식 (3)을 포함해 얻은 결과이다. 원자극한과 비교하기 편리하도록 투영상태밀도의 궤도를 나타내는 색이 원자극한 준위에 표시한 색과 대응되도록 하였다. 앞 장에서 얻은 원자극한과 Fig. 3의 들뜸 구조는 비록 특정 항을 무시한 결과이지만 보다 현실적인 격자 모형의 들뜸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먼저 Fig. 4(a)는
본 연구는 2021년도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No. NRF-2021R1C1C10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