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2; 72: 914-92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3938/NPSM.72.914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Kyunghee Ka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kkh6554@jeju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analyzed the types of class participation included in the lesson plans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The elements of class particip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depth of knowledge’, ‘higher-order thinking’,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substantive conversation’,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epth of knowledge' was presented the most among the types of class participation in lesson plans. In addition,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s of class particip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instruction model. As a result of ANOVA, `depth of knowledge',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mode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class participation typ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and between `substantive conversation'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physics teachers to understand class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Keywords: Class participation, Pre-service physics teacher, Lesson plan, Instruction model, Depth of knowledge
이 연구는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들에 나타난 수업 참여 유형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업 참여 유형은 ‘지식의 심화’, ‘고차원적 사고’, ‘실생활 연계’, ‘실질적 대화’,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의 다섯 가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업지도안에는 수업 참여 유형 중 ‘지식의 심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 참여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ANOVA 결과 ‘지식의 심화’, ‘실생활 연계’,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수업모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 참여 유형들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실생활 연계’와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 ‘실질적 대화’와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 참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수업 참여, 예비 물리교사, 수업지도안, 수업모형, 지식의 심화
교실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학생의 수업 참여는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이에 수업 참여를 학생의 사고 수준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강조하고 있다[3]. 또한 수업 참여 과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해석 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수업 참여란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데, 개념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보는 관점[3], 학습 동기 유발과 학습 몰입의 중간 정도의 단계로 보는 관점[5]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정의들을 토대로 하여 수업 참여의 요소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참여로 분류하기도 한다[6].
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수업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실수업에서 수업 참여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들[1,2]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실제 수업에서 수업 참여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수업지도안 설계가 강조되고 있다[7-9]. 교실수업은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수업지도안 설계 과정에서부터 수업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획들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즉 교수-학습 자료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구체적인 학습 안내를 포함한 수업 활동을 계획하는 내용이 수업지도안에 제시된다면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이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다[10,11]. 그러나 선행 연구[12]에 따르면 현직 교사들은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현직 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을 분석한 결과 수업 참여에 대한 내용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13].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부터 지식을 심화시키고 실생활을 연계시키는 등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지도안에 이러한 내용들이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업 참여 관점에서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것은 교수자가 수업 계획 단계에서 수업 참여와 관련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수업은 많은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과 흥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고차원적인 활동이다[14]. 그러므로 수업 계획은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과정 중 하나이고, 그 중 핵심적인 활동이 수업지도안 작성이다. 수업지도안은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계획하고 설계한 내용이 담겨있는 문서이고[15], 수업지도안에 기초한 수업 계획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실제 교실 수업에 구현하는 연결고리로서의 기능을 한다[16]. 수업계획은 교사의 전문성이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활동임과 동시에 실제 수업을 통해 학생의 학습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수업계획 능력을 기르게 되고, 그를 위한 중요 활동으로 수업지도안 작성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예비교사들의 수업 계획 능력은 지식 습득이라는 측면만 강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18,19].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 경험은 수업 계획 능력의 기초를 이루기 때문에 그동안 초중등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연구들[14, 20, 21]이 이루어졌다. 특히 수업 참여와 관련해 초등 교사들이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때 수업 참여가 반영되는 정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13],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에서 학생 수준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는다는 연구[22] 결과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수업 참여의 측면에서 예비 교사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예비 물리교사의 수업지도안을 살펴본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학습자들은 물리학습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24]. 그러므로 물리수업에서 학생들을 참여시켜 개념 이해를 높이고 학습 동기를 촉진하는 것은 의미있는 교수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예비 물리교사들이 향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수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교수 역량을 기르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수업모형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26]. 이 연구들은 수업모형의 단계별 특성에 따라 수업 참여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중학교 수업을 실행할 때 수업모형에 따라 여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순환학습모형을 활용할 때 개념 적용에 어려움을 겪었고, 개념변화학습모형에서는 생각의 변화 비교 검토를 잘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했다[27]. 이와 같은 결과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업모형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참여의 측면에서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면서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업모형에 따라 설계되는 수업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모형에 따라 교수 활동을 전개할 때 수업 참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요소를 분석하는 것은 수업 참여에 대한 교수자의 이해 정도를 검토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수업 참여 요소들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 살펴보고,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 참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J시 소재 사범대학 물리교육전공에 재학 중인 예비 물리교사 18명이 작성한 수업지도안 97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 물리교사들은 ‘물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에서 수업모형에 따른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수업지도안 작성을 위한 수업모형별 학습 주제는 3–4명으로 구성된 모둠별로 중학교 과학교과서 물리 단원과 물리학 I, II 교과서 분석 활동을 하면서 각 수업모형에 적합한 내용을 하나씩 선정한 것이다. 각 수업모형별 수업 주제와 수업지도안 수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Subject.
Instruction model | Topic | Number |
---|---|---|
Discovery learning | Uniform motion & motion of free fall | 20 |
Learning cycle | Magnetic action of electric current | 20 |
Generative learning | Light addition | 19 |
Conceptual Change | Law of action and reaction | 19 |
STS | Momentum & Impulse | 19 |
Total | 97 |
이 연구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업 참여와 관련해 수업 중에 제시되는 개념들을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11], 학생들이 수업 중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움을 주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견해가 주목받고 있다[28]. 또한 수업에서 수업 내용과 관련된 실제 사례와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수업 참여에 효과적이라는 연구[29]도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2]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의 수업 참여 유형들을 토대로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틀은 앞서 제시한 선행 연구들에서 강조하고 있는 수업 참여 유형들을 포함하고 있고,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 활동을 중점적으로 제시하였으므로,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요소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7]. 이 분석 요소 중 ‘고차원적 사고’는 자료 해석, 가설설정, 일반화 등을 통해 기존 지식과 새로 학습한 지식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수업 참여 형태를 의미한다. ‘지식의 심화’는 학습자가 수업에서 다루는 새로운 지식의 의미와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하는 수업 참여 형태이고, ‘실생활 연계’는 수업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과 학생들의 기존 지식 및 경험을 관련지어 제시하는 수업 참여 형태이다. 또한 ‘실질적 대화’는 수업 내용 및 문제 해결과 관련해 교사와 학생 간 실질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 참여 형태이고,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학생 수준에 적합한 수업 활동을 사전에 계획하여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는 수업 참여 형태를 의미한다. 각 수업 참여 유형의 특징을 토대로 5점 척도의 점수 체계를 작성하였다. 이 분석틀의 구체적인 내용과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에 제시된 수업참여 유형별 사례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Analysis framework.
Type | Criteria | Example |
---|---|---|
Higher-order thinking | Were the class goals clearly set, and did content explan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to deepen students' knowledge appeared? | The groups conduc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round the straight wire. Students interpret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 and present what regularities appear. |
Depth of knowledge | Were contents that improve students' thinking skills such as generalization,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presented? | Teacher explains what force acts when an object falls. In addition, teacher has students compare how a force acts in a motion of varying speed versus a motion of constant speed. |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 Were the contents that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presented through the connection of experience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 Teacher asks the students why they wear helmets when riding an electric kick board. Also teacher asks if they are ever caught the ball with a baseball glove. Teacher explains the amount of impact and asks what things can reduce the impact in real life. |
Substantive conversation | Were teachers' questions and information provision suggested to induce various responses and opinions of students? | Students present their opinions on various safeguards and operating principles. Teacher asks what other students think about the presentation. It also asks about the pros and cons of ideas. |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 Were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student's level and an acceptable class mood presented? | Teacher checks if all students can see the video before showing it. Teacher also provides a worksheet and guid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 using it. |
예비 물리교사들은 2022년 1학기 ‘물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5회에 걸쳐 수업모형별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각 주차별로 수업모형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졌고, 수업 참여와 수업담화, 질문 등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강의를 통해 수업모형에 대한 설명과 그에 따른 수업지도안 예시 등을 제시하였고, 이후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이 이루어졌다.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유형들에 대한 분석은 2명의 과학교육학 박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특히 분석자들에게 전체적인 수업지도안 수준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수업 참여 유형에 대한 분석임을 강조하였다. 무작위로 추출한 10부의 수업지도안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분석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각 수업 참여 유형별 점수 체계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식의 심화’ 관련해서는 학습자의 지식을 심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내용으로 수업 내용 설명의 수준과 선수 학습 내용과의 관련성 제시 등을 세부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에서는 수업 운영과 관련해 수업지도안에 제시된 유의 사항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대해 고려하는 내용을 포함하기로 분석틀을 보완하였다.
97부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2인의 분석 결과 일치도는 Cohen’s kappa계수 .904(
예비 물리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 97부를 대상으로 수업 참여 유형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지식의 심화’가 평균 3.4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고차원적 사고’ 3.30점, ‘실질적 대화’ 2.95점, ‘실생활 연계’ 2.66점 순이었다.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1.98점으로 가장 낮았다. 다섯 가지 수업 참여 유형 중 세 가지가 중간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 참여 유형을 고르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지식의 심화’와 ‘고차원적 사고’ 등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수업 참여 유형은 비교적 잘 활용하고 있지만, ‘실질적 대화’,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 등은 상대적으로 활용 수준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지식을 중심으로 한 인지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수업 계획을 한다는 연구[19]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실생활 연계’는 주로 수업 내용을 제시할 때 집중적으로 나타나 수업 전반에 걸쳐 활용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 교사들의 수업지도안에서 ‘실생활 연계’가 가장 잘 활용되었다는 연구[7]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각 수업 참여 유형별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Mean and SD of class participation types.
Type | Mean | SD |
---|---|---|
Higher-order thinking | 3.43 | .71 |
Depth of knowledge | 3.30 | .62 |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 2.66 | 1.00 |
Substantive conversation | 2.95 | .89 |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 1.98 | .97 |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수업 내용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는 점이다. 수업 내용을 학습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업지도안에 수업 참여 유형 중 ‘지식의 심화’가 상대적으로 잘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고차원적 사고’는 선수학습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한 생각을 이끌어내도록 하는 형태로 활용되는 경우와 학습 내용을 다른 상황 또는 개념과 연계해 생각해보도록 하는 형태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실질적 대화’는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의 형태로 기술되는데, 대부분의 수업지도안은 교사의 교수 활동을 중심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이 유형의 수업 참여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일부 수업지도안에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학생 응답과 그에 대한 다른 학생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등 다양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수업지도안에서 학습 내용을 제시할 때 학생들의 경험을 상기시키거나 선행 학습 내용을 연계함으로써 ‘실생활 연계’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수업 내용을 전개하는 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유형의 수업 참여가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가장 낮은 활용 수준을 보인 수업 참여 유형이었다. 이 유형은 학생 수준에 대한 교사의 고려와 수업 참여에 대한 허용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과 흥미 등에 대해 교수자가 고려한 내용이 많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준 등을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선행 연구[7]에 따르면 과학수업이 다른 과목 수업에 비해 ‘실생활 연계’는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예비 물리교사들이 학습자 수준에 대한 고려를 토대로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이루어지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각 수업모형에 따른 수업 참여 유형을 살펴본 결과 발견학습모형 수업지도안에서는 ‘고차원적 사고’가 평균 3.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순환학습모형에서는 ‘지식의 심화’가 평균 3.65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차원적 사고’, ‘실질적 대화’, ‘실생활 연계’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학습모형에서는 ‘지식의 심화’가 3.68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개념변화모형에서도 ‘지식의 심화’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에 비해 STS수업모형에서는 ‘실생활 연계’가 3.68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실질적 대화’, ‘’고차원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각 수업모형별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유형의 수준은 Fig. 1에 제시하였다.
수업 참여 유형이 수업모형별로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의 심화’, ‘실생활 연계’,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수업모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
Table 4 The result of ANOVA.
SS | df | MS | F | p | ||
---|---|---|---|---|---|---|
Depth of knowledge | Inter-groups | 9.514 | 4 | 2.379 | 5.714 | .000*** |
Within-group | 38.300 | 92 | .416 | |||
Total | 47.814 | 96 | ||||
Higher-order thinking | Inter-groups | 2.514 | 4 | .629 | 1.710 | .154 |
Within-group | 33.816 | 92 | .368 | |||
Total | 36.330 | 96 | ||||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 Inter-groups | 34.255 | 4 | 3.564 | 12.807 | .000*** |
Within-group | 61.518 | 92 | .669 | |||
Total | 95.773 | 96 | ||||
Substantive conversation | Inter-groups | 6.184 | 4 | 1.546 | 2.016 | .099 |
Within-group | 70.558 | 92 | .767 | |||
Total | 76.742 | 95 | ||||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 Inter-groups | 20.125 | 4 | 5.031 | 6.628 | .000*** |
Within-group | 69.834 | 92 | .759 | |||
Total | 89.959 | 96 |
***:
예비 물리교사들의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수업 참여 유형들 간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이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able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생활 연계’와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실질적 대화’와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 사이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행 연구[7]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 또는 지식을 연계하는 과정에서 성취 향상을 지원하는 활동이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과 흥미 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해 실질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고차원적 사고’는 ‘지식의 심화’를 제외한 나머지 수업 참여 유형들과 부적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때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수업 참여 유형을 다른 수업 참여 형태와 유기적으로 연계해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 수업에서 다양한 수업 참여 유형들을 잘 활용하는 것은 수업계획 단계에서부터 교수자가 수업 설계 능력을 발휘해야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작성 단계에서부터 수업 참여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업 참여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활동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able 5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class participation types.
Depth of knowledge | Higher-order thinking |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 Substantive conversation |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 |
---|---|---|---|---|---|
Higher-order thinking | .035 | 1 | -.019 | -.066 | -.007 |
Connectedness to the world beyond the classroom | -.350 | -.019 | 1 | .120 | .219* |
Substantive conversation | .102 | -.066 | .120 | 1 | .252* |
Social support for student achievement | -.094 | -.007 | .219* | .252* | 1 |
*:
수업 참여는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1,2], 학습자의 지식과 사고 수준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선행 연구들[30,3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수업 참여에 가장 효과적인 기법이나 형태를 단적으로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제공할 수 있는 수업 참여 유형을 5가지로 나눈 분석틀을[2] 이용해 예비 물리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 97부를 분석하였다.
수업지도안 분석 결과 수업 참여 유형 중 ‘지식의 심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다음으로 ‘고차원적 사고’, ‘실질적 대화’, ‘실생활 연계’,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예비 물리교사들은 수업지도안에 다양한 수업 참여 유형을 고르게 활용하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수업 참여 요소들 중 ‘지식의 심화’와 ‘고차원적 사고’ 등의 일부 유형이 집중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점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 물리교사들이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수업 참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 참여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ANOVA를 실시한 결과 ‘지식의 심화’, ‘실생활 연계’, ‘학생 성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은 수업모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교사의 교수 행동은 수업 참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그러므로 예비 생물교사들이 수업 계획 단계에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그에 따라 수업을 실행할 때 수업 참여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수업 참여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고, 실제 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업지도안 작성 활동에 수업 참여와 관련한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때 학습 내용 이해와 관련해 수업 참여를 인지적 영역에만 초점을 두고 설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수업 참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이 제공된다면 향후 예비 물리교사들이 중등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실행할 때 학생 참여적인 수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업 참여를 지식의 심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에서 인지적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때 수업 내용과 관련한 창의인성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방안, 발문계획을 필수적으로 포함시키는 방안 등 수업지도안의 형식들에 변화를 주어 수업 참여에 대한 다각적인 고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수업 참여 요소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학습자의 경험과 연계한 내용 제시, 학습자의 사고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 등은 기본적으로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 계획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직 교사의 수업동영상 등을 활용해 실제 학교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자 이해를 바탕으로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계획을 실행한다면 수업 참여를 더욱 강화하는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예비 물리교사들은 수업지도안 작성을 경험하게 된다. 수업 계획 단계에서부터 수업 참여 확대를 위한 고려를 강화하면서 더 나아가 작성한 수업지도안을 수업실연 등을 통해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수업 참여는 실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실현되므로 이 연구의 분석 결과에 나타난 수업 참여 요소들이 실제 학교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을 토대로 직접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예비 물리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해 자신의 교수 활동에서 수업 참여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반복해서 검토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수업모형에 따른 수업 참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수업모형별로 특정 수업 참여 유형이 집중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 물리교사들이 STS수업모형에서는 실생활 연계를 강조하는 등 수업모형의 일부 특징에 초점을 맞춰 수업을 계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업모형 전반에 대한 학습과 함께 수업 참여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예비 물리교사들이 수업 계획과 실행 과정에서 수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22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