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2; 72: 663-669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2 https://doi.org/10.3938/NPSM.72.663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Oon Sang Lee1, Myoung Youl Pac1*, June Ho Choi1, In Sung Yeo1, Kyung Kwang Joo2
1Institute for High Energy Physics, Dongshin University, Naju 58245, Korea
2Department of Phys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pac@ds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n the basis of Monte Carlo simulation, a liquid scintillation neutrino detector was used to study the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neutrino directionality. The emission angle of the neutron was calculated using the annihilation position of the positron generated through inverse beta decay, which was caused by the neutrino and the gamma-ray emitted by the neutron that was absorbed by gadolinium. When the neutron emission angle was considered as the neutrino directionality, the neutrino demission angle was linearly dependent on the neutrino incidence angle. Therefore, the calculation method for the emission angle of neutrons is a more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incidence direction of neutrinos compared with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detector.
Keywords: Neutrino directionality, Liquid scintillator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액체 신틸레이션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하여 중성미자 입사방향에 따른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연구를 하였다. 중성미자에 의해 발생한 역베타붕괴에서 양전자의 소멸 위치와 중성자가 가돌리늄에 흡수되어 방출하는 감마선의 신호를 이용하여 중성자의 방출각을 구하였다. 중성자 방출각을 중성미자 지향성으로 고려하였을 때, 역베타붕괴를 이용한 중성미자 입사방향은 중성미자 지향성에 선형적으로 의존하였다. 또한 중성자의 방출각을 정의하는 계산방법이 검출기의 공간분해능보다 중성미자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한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Keywords: 중성미자 지향성, 액체 신틸레이터
중성미자 검출기는 중성미자의 성질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실험적 도구이며, 이는 중성미자가 검출기 구성 원소와 검출기 내에서 일으키는 사건을 기반으로 한다. 중성미자 검출은 중성미자 사건의 발생 원점 (vertex)을 기반으로 하며, 중성미자가 검출기내에서 일으키는 상호작용에 따라 중성미자 지향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명확한 중성미자 선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성미자 지향성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배경반응을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성미자 지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그리고 이 방법론을 발전시키는 경우, 예상하지 않았던 여러가지 실험적 도구를 추가로 얻게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미 연구된 내용에 따르면 중성미자의 입사방향을 액체 신틸레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1-4]. 이를 중성미자 지향성(directionality) 연구라고 한다.
이는 중성미자 반응에서 발생하는 이차입자들이 검출기에 남기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성미자의 입사방향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상대적으로 대형의 물-체렌코프 검출기(water-Cerenkov detector)를 이용하는 경우, 중성미자 지향성을 측정하는 방법론이 확립되어 있으나 비교적 소형의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를 이용하는 원전 중성미자 실험의 경우 Chooz 실험에서 시도된 것 외에 아직 새로 확립된 방법론은 없으며[5], Double Chooz 그룹에서 기존의 Chooz그룹에서 사용되었던 방법에 따라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국내에서는 액체 신틸레이터를 이용한 RENO (reactor experiment for neutrino oscillation) 검출기를 이용하여 중성미자 지향성을 결정하는 연구한 결과가 있다[2-4].
본 연구에서는 RENO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기의 공간 분해능의 변화에 따른 중성미자 지향성을 결정할 수 있는 실험방법론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검출기에서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이 지향성을 연구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중성미자 검출기가 액체 신틸레이터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결과는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를 이용하여 지구 중성미자 (geo-neutrino)나 초신성 중성미자 (supernova neutrino)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를 검출하고 중성미자 발생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주제들은 중성미자의 발생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얻기 위하여 중성미자 검출기를 통해 중성미자의 입사방향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 방법론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 수 있다면 핵실험 또는 핵물질 확산 감시등의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원전 중성미자 실험에서 무작위적인 방향을 가지는 배경반응으로 부터 중성미자 지향성이 확실한 원자로 중성미자에 의한 반응을 구분하는 데에도 이용할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RENO와 같은 원전 중성미자 실험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액체 신틸레이션기반 중성미자 검출기는 검출기내에서 발생되는 역베타붕괴 (inverse beta decay, IBD),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RENO의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를 이용하고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 원자로 위치에서 발생시킨 중성미자의 입사방향을 재구성함으로써, 중성미자 비행 방향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방위각과 천정각의 계산이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정확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검출기의 방향을 상하 좌우로 15° 씩 회전시켰을 때, 중성미자의 비행 방향이 변화하는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검출기의 공간분해능과 방출각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른 중성미자 지향성의 정확도를 확인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한빛원전 4호기에서 방출된
중성미자의 비행방향을 검출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성미자의 입사 방향을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에서 중성미자 신호는
역베타 붕괴 반응에서 발생된
여기에서
이때
이 된다. 이는 IBD를 통해 발생되는
이는
여기에서
Equation (5)와 Eq. (7)로 부터
이때
와 같이 표현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실험계에서
의 관계식을 통해
중성자는 항상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중성자가 원자핵에 포획되기 전까지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 내에서 질량
원자핵과의 연속적인 충돌을 통해 중성자의 최종 포획지점이 IBD 반응지점보다 후방에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탄화수소를 기반으로하는 유기 액체 신틸레이터의 경우, 가벼운 원자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때 기울기
여기에서
연구에서 사용된 중성미자 선원의 위치는 한빛 원전 4호기를 그 기준으로 하였으며, 검출기는 RENO 원거리 검출기를 고려하였다. 한편, 검출기의 위치 분해능을 변화시켜가며 중성미자의 비행방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성자와 원자핵과의 산란에 의한 에너지 손실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IBD 발생 지점(
Figure 4와 5에 영광 한빛원전 4호기에서 발생한
Table 1 Slope and error of linear function regressing
Spatial resolution [mm] | Slope | Error [%] |
---|---|---|
0 | 0.9977 | 0.35 |
50 | 1. | 0.51 |
100 | 0.9845 | 1.00 |
150 | 0.9699 | 1.29 |
200 | 0.9876 | 1.86 |
250 | 0.9915 | 2.18 |
300 | 0.9974 | 2.54 |
Table 2 Slope and error of linear function regressing
Spatial resolution [mm] | Slope | Error [%] |
---|---|---|
0 | 0.3059 | 0.77 |
50 | 0.1922 | 1.15 |
100 | 0.1262 | 1.00 |
150 | 0.0941 | 1.97 |
200 | 0.0753 | 3.68 |
250 | 0.0521 | 4.28 |
300 | 0.0489 | 5.23 |
검출기의 응답이 중성미자의 입사각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담기 위해서 기울기는 1의 값을 가져야 한다. Figure 6은 검출기의 공간분해능과 관련 없이 기울기가 1을 가지고 있으며, 오차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통적인 구좌표를 이용하여 중성미자 입사방향과 지향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출기의 공간분해능을 매개변수로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검출기 좌표계는 연구자가 임의로 정의한 것이기 때문에
액체 신틸레이션 중성미자 검출기와 IBD를 이용하여 중성미자의 입사방향을 결정하는 경우, 중성자 방출각을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검출기 좌표계 및 지향성을 정의하는 각도 계산방법의 선정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좌표계의 경우, 고도각이 방위각 보다 공간분해능에 훨씬 민감하게 응답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공간분해능에 따른 검출기의 응답은 방위각
이 결과를 통해 중성미자 지향성을 검출기의 공간분해능과 무관하게 얻고자 하는 경우, 평면에 대한 고도각을 이용하는 것보다, 서로 직교하는 임의의 두 평면에서 방위각을 구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16R1D1A3B02010606, 2018R1D1A1B07050425, 2021R1C1C2003615)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지원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