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3; 73: 91-96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3 https://doi.org/10.3938/NPSM.73.91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Tae Kwon Song*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of Materials Convergence and System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51140,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tksong@ch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various antiferroelectric properties were modeled via Landau–Khalatnikov (LK) simulations. LK simulation methods for switching sublattice polarizations of antiferroelectrics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ntrol of coercive fields and frequency. The methods were compared with those developed in previous phenomenological studies. Through the coupling of antiferroelectrics and relaxor ferroelectrics, superior energy storage properties were obtained.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recoverable energy storage density reached 9.66 J/m3 and the energy storage efficiency was 98%.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ferroelectrics can be useful for environment-friendly energy storage applications.
Keywords: Ferroelectric, Antiferroelectric, Coupling, Simulation, Energy storage
에너지 저장 응용을 위하여 다양한 반강유전 특성에 대하여 Landau-Khalatnikov (LK) 시늉내기를 이용하여 반강유전체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LK 시늉내기가 반강유전체의 하부 격자 분극의 스위칭 특성을 설명하는 데 활용하는 방법을 주파수의 변화와 항전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알려진 반강유전 현상론과 비교하였다. 반강유전과 완화형 강유전 특성을 결합하여 매우 우수한 에너지 저장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수한 회수 에너지 밀도 9.66 J/m3와 저장 효율 98%를 얻을 수 있었고 반강유전체가 친환경 에너지 저장 응용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Keywords: 강유전, 반강유전, 결합 특성, 시늉내기, 친환경 에너지 저장
유전체 축전기는 높은 전력 밀도와 빠른 충방전 시간 등의 장점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로 최근에 큰 관심을 끌고 있다[1-4]. 큰 유전 상수를 가지는 강유전체는 높은 회수 에너지 밀도(
Figure 1은 일반적인 강유전체와 반강유전체의 이력 곡선과 에너지 저장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축전기 충전 과정에서 필요한 충전 에너지 밀도(
여기서
여기서
이런 에너지 저장 특성은 물질의 특성과 더불어 전기장의 세기와 충전 시간(주파수)에도 의존하게 된다.
강유전체는 Fig. 1(a)와 같은 이력 곡선을 보여주며 큰
LK 시늉내기는 강유전 스위칭과 같은 분극(
여기서
Table 1 Simulation parameters for LK equation [10,12] (The temperature
6.6 × 109 | 1000 |
여기서
LK 방정식의 계산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표계산 프로그램인 엑셀을 이용하여 차분 방정식으로 계산하였다. 충방전 반 주기의 시간 동안 12,000개의 행을 이용하여 전기장을 사인 함수 형태로 변화시키며 계산하여 이력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1(a)는 20 °C에서 BaTiO3의 반 주기 이력 곡선 결과로 한 주기 결과는 이전의 발표와 같은 이력 곡선을 보여준다. 이 때
Figure 2(a)는 20 °C와 높은 전기장에서 BaTiO3의 반 주기 이력곡선이다. 계산에서 주파수 즉 계산의 시간 간격(
반강유전체에서는 외부 전기장이 없을 때 이웃한 하부 격자 분극(
반강유전체의 Landau 현상론은
측정되는 분극은 하부 격자 분극의 평균값이다.(
Figure 4(a)는
이에 반강유전체의 스위칭 특성을 시늉내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Figure 6는 Fig. 5의 결과를 주파수 비율(
에너지 저장 응용을 위하여 다양한 반강유전 특성에 대하여 LK 시늉내기를 이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반강유전과 완화형 강유전 특성(낮은
이 논문은 2021–2022년도 창원대학교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