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4; 74: 996-1004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4 https://doi.org/10.3938/NPSM.74.996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Woo Tae Hong, Hyun Kyoung Ya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Department of Electrical, Electronics and Software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47, Korea
Correspondence to:*hkyang@p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series of Eu3+- doped Y2GeMoO8 (YGMO:Eu3+) red-emitting phosphors were synthesized via solid-state reaction methods. Under 395 nm excitation, the YGMO:Eu3+ phosphor exhibits dominant emission at 614 nm owing to the 5D0→ 7F2 transition of Eu3+ ions. The luminescence intensity was maximized when the Eu3+ concentration was 50 mol% of Y3+ ions, which was cau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nearest-neighbor Eu3+ ions. Red-emitt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were fabricated by encapsulating YGMO:Eu3+ phosphors on UV LEDs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YGMO:Eu3+ phosphor. The CI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1931 coordinates of the fabricated LEDs were (0.453, 0.31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YGMO:Eu3+ phosphor can be used as a red phosphor in phosphor-converted warm white LEDs.
Keywords: Phosphor, LED, Y2GeMoO8:Eu3+
Eu3+이온이 첨가된Y2GeMoO8 형광체 (YGMO:Eu3+)를 고상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YGMO:Eu3+ 형광체는 395 nm 광에 여기하여 Eu3+ 이온의 5D0→ 7F2 천이에 의하여 614 nm 광을 발광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형광은 Eu3+ 이온의 농도가 50 mol%일 때, 형광세기가 최대가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인접한 Eu3+ 이온 간의 에너지 천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YGMO:Eu3+ 형광체의 LED용 형광체 응용에 대한 응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YGMO:Eu3+ 형광체를 근자외선 LED에 봉지하여 적색 LED를 제작하였으며, 제작한 적색 LED의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1931 좌표계가 (0.453, 0.312)로 계산되어 적색광을 발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YGMO:Eu3+ 형광체가 백색 LED의 연색성을 개선하는 데에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형광체, LED, Y2GeMoO8:Eu3+
백색 LED는 높은 효율, 우수한 내구성, 작은 크기, 긴 작동수명, 빠른 동작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광원인 형광등 및 전구를 대체하는 광원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1-4].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백색 LED는 실내조명, 디스플레이, 가전 등에 응용되어지고 있다[5, 6]. 일반적으로 상용 백색 LED는 청색 발광의 InGaN LED 칩과 황색 발광의 YAG:Ce3+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 광을 구현한다. 이러한 백색 LED는 가격이 저렴하고, 효율이 우수하며, 제조가 간단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주광 대비 적색광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함에 따라 색온도가 높고(≈7750 K), 연색지수(
백색 LED의 연색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기 결정 형광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성과 활성제 이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무기 결정 형광체에 대하여 활성제 이온으로서 Eu3+, Sm3+, Pr3+, Dy3+, 그리고 Mn4+ 이온이 연구되었으며, 이 중 Eu3+ 이온은 f-f 천이에 의하여 자외선에 여기하여 적색광을 발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17-24]. Eu3+ 이온이 활성제로 사용된 형광체는 이러한 형광특성을 사용하여 조명, 위변조 방지, 바이오 이미징, 잠재 지문 현출, 온도 센싱 등의 분야에 대한 응용 연구가 진행되었다[25-29]. 이러한 형광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molybdate, tungstate, apatite, 그리고 vanadate 물질 등과 같은 charge transfer band의 에너지가 낮은 물질을 조성으로 한 형광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0-34].
본 연구에서
YGMO:Eu3+ 형광체는 고상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되었으며, Y2O3 (99.0%, Aldrich), GeO2 (99.99%, Aldrich), MoO3 (99.5%, Daejung Chemical), and Eu2O3 (99.99%, Aldrich)를 전구체로 사용하였다. 전구체 물질들을 화학양론적 계산(
YGMO:Eu3+ 형광체의 최적의 합성온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구체 혼합물질에 대한 열중량 분석 및 시차열 곡선을 열중량-시차열분석계(Shimadzu DTG-60H, TG-DTA 2020)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000 °C까지를 범위로 하여 측정하였다. Eu3+ 이온의 농도에 따른 YGMO:Eu3+ 형광체의 결정구조와 상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X-선 회절계(Philips, X’pert)로 X-선 회절(XRD, X-Ray Diffraction)을 분석하였으며, 이 때 X-선의 산란각(2θ)은 10°–80°영역에서 분당 0.02°의 스캔속도로 측정하였다.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계(EDX)가 부착된 전계 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JSM-6700F, JEOL)을 이용하여 형광체 입자 표면 형상과 원소 조성을 측정하였으며, 60 W의 Xe-arc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형광 광도계(FP-8500, JASCO)를 이용하여 형광체의 여기 및 발광 스펙트럼을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형광체의 온도에 따른 형광특성 변화를 200 W 출력의 Xenon 램프를 사용한 형광광도계(DARSA PRO-5200)를 사용하여 온도의존 형광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YGMO:Eu3+ 형광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LED의 전계발광스펙트럼을 측정하기 위하여 USB 분광계(SM245, Spectral products)를 사용하였다.
Figure 1은 YGMO:Eu3+ 형광체의 전구체 혼합물의 열중량-시차열분석 곡선이다. 시차열분석 곡선에서 500 °C 이하의 온도에서 물의 유기물의 휘발에 의하여 흡열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heat flow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800 °C 이상의 온도에서 molybdenum oxide의 산화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2는 YGMO:Eu3+ 형광체의 Eu3+ 농도에 따른 (a) X-선 회절 패턴, (b) (2 0 4) 방향에 대한 X-선 회절 피크의 위치변화 그래프이다. 합성된 YGMO:Eu3+ 형광체의 X-선 회절 패턴은 정방정계 구조의 YGe0.5MoO4 상(JCPDS No. 49-0600, space group: I4/a, space number: 88)이 주로 이루어져 있고, Y2Mo2O9 (JCPDS No. 30-1454) 와 GeO2 (JCPDS No. 30-14)가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고온의 열처리 과정에서 Molybdenum oxide의 일부가 산화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YGMO:Eu3+ 형광체의 X-선 회절 패턴에서, YGe0.5MoO4 상의 (2 0 4) 방향에 대한 피크가 48.54°에서 48.41°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Y3+ 이온의 결합길이(1.019 Å)와 Eu3+ 이온의 결합길이(1.066 Å)의 차에 의한 것이다.
LED에 사용되는 형광체는 표면형상과 크기 분포에 따라 형광체의 형광세기와 LED 적용 시의 응용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43]. 이러한 이유로 형광체의 형광특성 변화를 분석할 때, 형광체의 입자 분포 및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Figure 3은 x = (a) 0.10, (b) 0.20, (c) 0.30, (d) 0.40, (e) 0.50, (f) 0.60인 YGMO:Eu3+ 형광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합성한 형광체 표본은 Eu3+의 농도와 무관하게 입자의 크기가 1–10 μm 사이에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불규칙한 형상을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u3+의 농도가 YGMO:Eu3+ 형광체의 표면형상 및 입자크기의 분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4는 YGMO:Eu3+ 형광체의 (a) 395 nm, (b) 465 nm 여기 하에서의 형광스펙트럼, (c) 614 nm 발광에 대한 여기스펙트럼, (d) Eu3+ 농도에 대한 발광스펙트럼-비등방성 비율 그래프, (e) 형광세기-Eu3+ 농도 그래프이다. 두 여기광 파장에 대한 형광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YGMO:Eu3+ 형광체는 395 nm 광에 여기하여 614 nm광을 주 발광파장으로 하는 적색광을 발광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개의 발광스펙트럼에서 YGMO:Eu3+ 형광체는 580, 592, 614, 654, 그리고 703 nm의 형광피크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YGMO:Eu3+ 형광체 내에 존재하는Eu3+ 이온에 의한 5D0→ 7F0, 5D0→ 7F1 (electric dipole moment), 5D0→ 7F2 (magnetic dipole moment), 5D0→ 7F3, 그리고 5D0→ 7F4 천이에 의한 것이다[35]. 또한 YGMO:Eu3+ 형광체가 614 nm광을 주 발광파장으로 하기 때문에, YGMO:Eu3+ 형광체내에 존재하는 Eu3+ 이온이 inversion symmetry를 가지는 위치에 치환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Y3+ 이온과 Eu3+ 이온 사이의 결합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모체의 구조에 대한 대칭성이 Eu3+ 이온의 농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5D0→ 7F1 and 5D0→ 7F2 천이 간의 비율로 asymmetry ratio (
이 때,
이 때, V는 YGMO:Eu3+ 형광체의 단위 셀에 대한 부피 (286.47 Å3)이고,
Figure 5의 Van Uitert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에서 형광세기와 Eu3+ 농도 간의 관계를 Eq. (3)으로 계산된다.
이 때,
Equation (4)를 사용하여 Orig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tting을 진행하였으며, 기울기(Q/3)가 1.01로 계산되었고, Q는 3.03으로 도출되었다. Q 값이 3에 근사하기 때문에, YGMO:Eu3+ 형광체의 에너지 천이가 주로 이웃한 Eu3+ 이온 간의 에너지 천이로 인하여 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형광체를 LED에 적용할 때, 형광스펙트럼의 열적 안정성은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Figure 5는 YGMO:Eu3+ 형광체의 온도의존 형광스펙트럼, 형광세기와 온도에 대한 Arrhenius식 모델의 분석 그래프이다. YGMO:Eu3+ 형광체의 형광세기가 형광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열에 의한 형광세기 감소에 의한 것이다. 형광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와 포논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한다. 5D0준위에서 시작되는 f-f 천이의 열적 감소(thermal quenching)가 Eu3+-O2- 이온 간의 charge transfer transition에 대하여 주로 나타난다. 형광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논의 상호작용이 여기된 일부의 전자가 활성화 에너지보다 더 높은 에너지로 증가시키고, 7FJ 준위로의 천이가 비방사성 천이(non-radiative transition)를 유발하게 되어 형광세기가 감소한다. 형광체의 온도가 120 °C일 때, YGMO:Eu3+ 형광체의 형광세기가 상온일 때의 5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YGMO:Eu3+ 형광체의 형광세기의 열적 감소에 대한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광세기(I)와 온도(T)를 Arrhenius 식(Eq. (5))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이 때, A는 상수이다. Equation (6)에 의하여 열적 감소에 의한 활성화에너지는 0.686 eV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열적 감소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바닥준위와 여기준위 간의 비방사성 천이 영역을 감소시켜 Stoke 편이를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의 YGMO:Eu3+ 형광체의 열적 감소에 의한 활성화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형광세기의 감소가 크게 일어난다.
YGMO:Eu3+ 형광체의 LED 응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YGMO:Eu3+ 형광체를 395 nm 파장의 근자외선 LED와 조합하여 LED표본을 제작하였다. Figure 6은 제작된 LED 표본의 (a) 전계발광스펙트럼과 이에 대한 (b)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1931 색좌표계이다. 제작된 LED는 395 nm 칩에서 나오는 자외선 광을 형광체가 흡수하여 여기된 뒤 형광체 내에 존재하는 Eu3+ 이온의 f-f 천이에 의하여 적색광을 발광한다. 전계발광스펙트럼을 CIE 1931 색좌표로 변환한 뒤, 색좌표계에 표현하였으며, 이를 Fig. 6(b)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LED의 칩과 형광체의 적색 형광이 혼합됨에 따라 LED의 전계발광스펙트럼의 색좌표가 (0.453, 0.312)로 계산되었으며, 이를 통해 YGMO:Eu3+ 형광체가 근자외선 LED 기반의 적색 형광체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YGMO:Eu3+ 형광체를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였으며, YGMO:Eu3+ 형광체의 Eu3+ 농도에 따른 구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YGe0.5MoO4 상이 주로 존재하였으며, Y2MoO9와 GeO2가 불순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Eu3+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체의 결합길이의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YGMO:Eu3+ 형광체의 형광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Eu3+ 이온의 f-f 천이에 의하여 395 nm광에 여기한 뒤, 614 nm 파장의 적색광을 발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YGMO:Eu3+ 형광체의 형광세기는 Eu3+ 이온의 농도가 50 mol%일 때 최대가 되며, 이는 인접한 Eu3+ 이온 간의 에너지 천이에 의한 것이다. YGMO:Eu3+ 형광체와 근자외선 LED를 조합하여, 보라색의 전계발광스펙트럼을 발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YGMO:Eu3+ 형광체의 형광스펙트럼과 제작한 LED의 전계발광스펙트럼을 CIE 1931 색좌표계로 변환한 결과, 각각 (0.453, 0.312)와 (0.657, 0.342)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YGMO:Eu3+ 형광체가 자외선 기반 LED의 적색 형광체로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국립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3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