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New Phys.: Sae Mulli 2024; 74: 525-534
Published online June 28, 2024 https://doi.org/10.3938/NPSM.74.525
Copyright © New Physics: Sae Mulli.
Gun Yeup Kim, Chong Hoon Kwak*
Department of Physic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Correspondence to:*chkwak@y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We fabricated RH-CLC (right-hand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cells which are composed of various concentration of dextrorotatory (R1011) chiral dopants and nematic liquid crystal (6CHBT). We measured Stokes parameter of the fabricated CLC cells using appropriated different wavelengths from 400 nm to 650 nm region of laser with optical components such as polarizer and phase retarder. By adopting the coupled wave theory based on periodic dielectric permittivity, we present the closed form of analytic expression for wavelength dependence of Stokes parameters and compare with the formulae with experimental data, showing excellent agreements.
Keywords: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upled wave theory, Chirality, Stokes parameter, Polarization
다양한 농도의 우선성 (dextrorotatory) 카이랄 도펀트 (R1011)와 네마틱 액정 (6CHBT)을 혼합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셀을 제작하였다. 400 nm에서 650 nm 파장 영역에서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와 편광자 및 위상 지연자 같은 광학 소자를 사용하여 제작한 콜레스테릭 액정들의 스토크스 매개 변수 (Stokes parameters)를 측정하였다. 주기적인 유전율과 파동 방정식을 기반으로 결합 파동 이론을 적용하여 파장에 따른 스토크스 매개 변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실험 데이터와 수식을 비교한 결과 우수한 일치도를 보였다.
Keywords: 콜레스테릭 액정, 결합 파동 이론, 카이랄성, 스토크스 매개 변수, 편광
층상 구조를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 (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은 액정 분자들의 평균적인 배열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자 (director)가 인접한 층마다 시계 방향 (우선성, dextrorotatory) 혹은 반시계 방향 (좌선성, levorotatory)으로 비틀어지면서 나선형 구조로 회전하는 형태를 가지는 액정이다[1]. 이때, 방향자가 층상 구조에서 한 주기 동안 회전한 거리를 피치(pitch)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셀 제작 시 피치는 카이랄 (chiral) 성질을 갖는 액정들의 고유한 물리적 특성에 의존하는데, 최근에는 비 카이랄 (achiral) 네마틱 액정에 좌선성 또는 우선성 회전을 주는 카이랄 도펀트 (chiral dopant)를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피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셀을 제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2-7]. 제작된 콜레스테릭 액정셀의 피치는 온도, 압력, 전기장 또는 자기장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8, 9], 피치가 존재하는 이런 독특한 나선형 구조로 인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은 흥미로운 광학적 특성을 나타낸다[1, 8-10]. 특히,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강하게 반사시키는 선택 반사 (selective reflection) 특성을 활용한 반사형 편광 필름 (reflective polarization film), 컬러 필터 (color filter)와 같은 디스플레이 액정 소자와 광 메모리 (optical memory) 등의 차세대 기록 매체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8, 9]. 층상 구조를 가진 콜레스테릭 액정의 이론적 접근 방법은 크게 콜레스테릭 액정을 주기적인 다층 박막으로 가정하여 여러 행렬들의 곱으로 해석하는 방법과[11, 12],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들의 유전율이 회전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고 보고 파동 방정식을 결합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10, 13-15]. 이 중 후자인 파동 방정식으로 유도한 이론으로부터 광학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과 관련된 편광 특성 정보를 얻어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을 기술하고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존스 (Jones) 행렬법[16], 뮐러 (Müller) 행렬법[17], 베렐만 (Berreman) 행렬법[18] 및 스토크스 매개변수 (Stokes parameters) 방법들이 있다[17]. 이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농도를 달리한 카이랄 도펀트와 네마틱 액정을 혼합하여 피치가 서로 다른 콜레스테릭 액정셀들을 제작하고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제작한 매질들의 스토크스 매개 변수를 파장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스토크스 매개 변수와 파장 의존성을 결합 파동 방정식으로 얻은 이론적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z축을 기준으로 나선형 주기를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 매질의 유전율은 xy 평면에서 Eq. (1)과 같이
여기서,
Equation (2a)에서 RH-CLC의 유전율 텐서
여기서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Equations (2)와 Eq. (4)를 Eq. (3)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Eqs. (5)와 같이 RH-CLC와 LH-CLC에 대한 각각 두 개의 결합된 미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아래 첨자 R 과 L 은 각각 우향 원편광과 좌향 원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Equation (6)을 Eq. (5a)에 대입하고, 천천히 변하는 진폭 근사 (slowly-varying amplitude approximations)를 가정하면 (즉,
여기서,
앞서 가정한 두 경계 조건으로
여기서,
선형 흡수를 무시하는 경우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Figure 1(a)는 Eqs. (10)을 사용하여 피치 변화에 따른 투과율과 반사율 스펙트럼을 이론적으로 그린 그래프이다. 분광 광도계의 광원처럼 무편광 입사광에서 CLC의 피치와 무관하게 이론적 투과율의 하한 (lower limit)은 최저 50%, 반사율의 상한 (upper limit)은 최대 50%를 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낸다. 브래그 조건
선형 편광된 빛이 RH-CLC 매질을 통과하면 CLC 특유의 나선형 구조 또는 카이랄성으로 인해 CLC 출사면에서 편광 각도가 크게 변하게 되므로, CLC 매질의 편광과 관련된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앞 절의 이론으로부터 스토크스 매개 변수를 유도하겠다. 흡수를 무시할 경우, 브래그 회절 영역 부근에서 입사하는 좌향 원편광 파는 진폭 변화 없이 투과하지만 우향 원편광 파는 큰 반사가 일어나므로 매질을 투과한 파동의 편광 상태는 타원 편광이 된다. 타원 편광의 장축 (major axis)의 회전과 이심률 (ellipticity) 변화는 주로 전방으로 진행하는 투과파에 의해 일어난다. 앞 절에서 다룬 Eq. (4), Eq. (6)과 Eqs. (8)을 사용하여 RH-CLC 매질을 통과한 투과파를 데카르트 좌표 성분
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여기서
와 같이 정의된다[20]. Equation (13)으로부터
를 얻을 수 있으며, m이 정수일 때
와 같이 대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표현할 수 있다. 즉, 스토크스 매개 변수는 세 개의 변수
Figure 2는 Eqs. (17)을 사용하여 파장에 따른 규격화 스토크스 매개 변수들의 이론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2(a)와 같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이론 그래프의 변화를 한 눈에 알아보기 힘든 관계로,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Fig. 2(b)는 파장 λ가 중심 파장
아세톤이 담긴 초음파 세척기로 투명전극 (ITO)이 한쪽 면에 증착된 유리 기판을 20분간 세척한 후 메틸알코올, DI-water 순으로 다시 세척한 뒤 N
Figure 3(a)는 6CHBT 네마틱 액정에 우선성 카이랄 도펀트 R1011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작한 RH-CLC 셀들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난 결과이다. R1011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중심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3(b)는 Eq. (10a)을 사용하여 Fig. 3(a)의 실험 결과를 시늉내기한 그래프로, 시늉내기에 사용한 이상 굴절률은
Figure 4와 같이 제작한 RH-CLC의 편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편광자와 위상 지연자 및 RH-CLC를 배치하여 스토크스 매개 변수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계를 구성하였다. 위상 지연자의 느린 축 (slow axis)이 실험식 좌표계 x 축에 대해 +45도로 회전해 있을 때 임의의 위상 지연 Γ을 가지는 위상 지연자에 대응하는 존스 행렬은
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다. 실험식 좌표계 x 축 방향으로 선편광된 전기장 파동이 RH-CLC 매질을 통과하면, 전기장은 x 축 및 y 축으로 서로 다른 진폭과 위상 변화
와 같은 행렬들의 곱이 된다. 빛의 세기는 전기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Eq. (17)에서 정의한 스토크스 매개 변수와 검광자 투과축의 회전 각도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Eq. (21)로부터 적당한 위상 지연 Γ와 검광자 투과축의 회전 각도
Figure 4는 실제 스토크스 매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도로 Fig. 4(a)는 위상 지연자 QWP (quarter wave plate)가 있는 경우
Figure 5는 Fig. 3과 같은 실험 장치도를 사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카이랄 도펀트가 혼합된 RH-CLC 매질에서 레이저 파장별로 매질을 투과한 빛 세기 분포를 극좌표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모든 데이터는 공통적으로 검광자를 1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실험 결과를 얻었으며, Eq. (21)을 사용하여 스토크스 매개 변수
Figure 6은 Eq. (17)을 사용하여 레이저 파장에 따른 스토크스 매개 변수
우선성 (dextrorotatory) 카이랄 도펀트 (R1011)를 각각 무게 백분율이 8.0 wt%, 6.6 wt%, 5.6 wt%, 5.0 wt%로 네마틱 액정 (6CHBT)과 혼합하여 피치가 서로 다른 4개의 콜레스테릭 액정셀 (RH-CLCs)을 제작하였다. 파장이 각각 405 nm, 450 nm, 520 nm, 544 nm, 633 nm, 638 nm, 650 nm인 7개의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제작한 RH-CLC의 편광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광학계를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RH-CLC를 투과한 빛의 세기 분포 결과로 각 레이저 파장에 따른 스토크스 매개 변수를 결정하였다. 주기적인 유전율과 파동 방정식을 결합하여 유도한 이론식을 사용하여 스토크스 매개 변수의 이론적인 스펙트럼 결과를 유도하였고, 실험에서 얻은 결과와 서로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끝으로 본 논문을 종합해 보자면, 두께 방향으로 주기적인 배열을 가진 콜레스테릭 액정의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한 파장에서 콜레스테릭 액정을 통과한 빛 세기들의 편광적 특성을 측정하여 손쉬운 방법으로 편광을 기술할 수 있는 스토크스 매개 변수로 표현한 뒤 실험 결과를 뒷받침하는 해석적 이론식을 통해 콜레스테릭 액정의 편광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